반응형
- 19 일(월) 미국 증시는 경기침체 우려로 인한 연말 산타랠리 기대감 후퇴, 연준을 비롯한 중앙은행들의 긴축 기조 여파로 보합 출발한 이후 국채금리가 반등한 영향으로 나스닥 중심으로 하락 마감(다우 -0.50%, 나스닥 -1.49%, S&P500 - 0.91%)
- 미국 12 월 NAHB 주택시장지수는 31(예상 34, 전월 33) 기록, 4 달 연속 주택건설 업황 악화를 시사하는 기준선 50 을 하회하며 2012 년 이후 최저치 기록. 집계 측은 금리인상에 따른 모기지 금리 상승과 인플레이션이 주택시장 심리를 급격히 악화시켰고, 주택건설자들은 주택매수를 이끌기 위해 인센티브를 제시하고 있다고 언급.
- 독일 12 월 IFO 기업환경지수는 88.6(예상 87.5, 전월 86.4) 기록하며 예상치 상회. 현재 경기에 대한 평가지수는 94.4(예상 93.5, 전월 93.2), 향후 경기에 대한 평가지수는 83.2(예상 82.0, 전월 80.2) 로 전월대비 개선. 집계측은 경기 비관론이 대두된 지 6 개월 만에 기업들이 현 상황에 대해 더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며 에너지 가격이 안정된 것에 기인한다고 평가.
- 업종별로 에너지(+0.1%) 업종만이 강세를 보인 가운데, 필수소비재(0%), 금융(-0.2%) 업종의 낙폭이 가장 작았고, 통신(-2.2%), 경기소비재(-1.7%), IT(-1.4%) 업종의 낙폭이 가장 컸음. 테슬라(-0.24%)는 일론머스크가 본인의 트위터 CEO 사임 여부를 묻는 여론조사에서 과반 이상이 찬성한 가운데 트위터 관련 리스크 해소 기대감 부각되며 장중 장중 반등하기도 했으나 미국채 금리 반등과 함께 약보합 마감.
- 메타(-4.14%)는 EU 집행위원회에서 온라인 광고 시장에서 반독점 규정을 위반했다는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한 영향으로 거액의 과징금이 부과될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급락.
- S&P 500 지수는 12 월 들어 2 주연속 하락세를 기록하며 현재까지 -6.43% 하락, 2018 년 12 월 -9.18%를 기록한 이후 가장 최저치를 기록 중(나스닥 -8.04%). 매파적이었던 12 월 FOMC, ECB 통화정책의 여파를 소화하고 있는 가운데, 어제 발표된 NAHB 주택시장지수 역시 부진을 보이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며 산타랠리에 대한 기대감은 후퇴하고 있는 상황.
- 더 나아가 중국 정부는 지난 15~16 일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소비진작과 민영기업 지원 및 코로나 19 규제 완화 등 내년도 경기부양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지만, 동시에 중국의 사망자 통계가 부정확하다는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서는 불필요한 외출이나 대중교통 이용 제한하는 등 이동량 회복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음.
- 내년 1 월 춘절을 전후로 중국내 감염자와 사망자수가 최고조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감안했을 때 당분간은 대만, 홍콩 사례와 마찬가지로 정부정책 완화에 따른 본격적인 리오프닝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다고 판단. 전일 코스피는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중국 증시 부진으로 인한 투자심리 악화되며 하락 마감 (KOSPI -0.33%, KOSDAQ -0.03%).
- 금일에도 12 월 FOMC 여파 및 미국 주택지표 부진 등으로 인해 약세 압력이 우위에 있을 전망. 다만 전일 미 증시 대비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제한되었던 것은 일본의 정책 변화 기대감으로 엔화가치 회복 및 달러 약세 영향으로 원/달러 환율이 하락한 것에 기인. 일본이 지난 10 년간 추진해 온 금융완화 정책을 내년 4 월 이후 수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전해진 영향이 엔화가치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
- 이를 감안했을 때, 금일 BOJ 통화정책회의 결과 이후의 원/달러 환율 방향성 역시 주시해야 한다고 판단. 업종단에서는 특히 최근 중국 리오프닝 기대감으로 랠리를 보였던 유통, 컨텐츠, 엔터, 항공 업종들 중 주가가 차별화되는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 전일 디즈니(-4.77%)가 흥행기대감을 모았던 ‘아바타’의 속편이 개봉 첫 주말 박스오피스가 당사 예상에 미치지 못한 영향으로 실망 매물 출회되며 하락함에 따라 관련주들 변동성 확대에 유의할 필요.
- 다우 -0.49%, S&P500 -0.90%, 나스닥 -1.49%
- TMF -5.29%, (after +0.00%/future US20Y +0.42%)
- YINN -1.57%, (after +1.71%/future HSI1! -1.24%)
- 건축허가건수 (MoM) (11월), 건축승인건수 (11월), 주택착공건수 (11월), 레드북 소매판매지수 (YoY)
반응형
'주식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황] '22.12.23 (0) | 2022.12.23 |
---|---|
[주식시황] '22.12.21 (0) | 2022.12.21 |
[주식시황] '22.12.19 (1) | 2022.12.19 |
[주식시황] '22.12.16 (0) | 2022.12.16 |
[주식시황] '22.12.15 (0) | 2022.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