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거시경제, 매크로/통계청 15

[통계청] '22.12.22 21년 지역소득(잠정)

□ (생산규모) 2021년 전국 지역내총생산은 2,076조원으로 전년보다 132조원(6.8%) 증가 ○ 경기(527조원), 서울, 충남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세종(14조원), 제주, 광주 순으로 작게 나타났음 □ (성장률) 2021년 전국 지역내총생산은 제조업, 금융?보험업, 사업서비스업 등의 생산이 늘어 전년대비 4.2% 증가 ○ 세종(7.2%), 충북(6.4%), 인천(6.0%) 등은 공공행정, 제조업 등이 늘어 전국평균보다 높게 증가하였으며, 제주(1.2%), 경남(1.9%), 부산(2.3%) 등은 건설업 등이 줄어 전국평균보다 낮게 증가 □ (최종소비) 2021년 전국 최종소비는 민간소비와 정부소비에서 모두 늘어 전년대비 4.3% 증가 ○ 충북(14.4%), 세종(10.7%) 등은 정부소비와 ..

[통계청] '22.12.22 21년 기업생멸행정통계 결과

【 활동, 신생, 소멸 기업 수】 □ '21년 활동기업*은 705만 6천개로 전년대비 23만 5천개(3.4%) 증가 '21년 신생기업은 102만 2천개로 전년대비 3만 6천개(3.4%) 감소 '20년 소멸기업은 76만 1천개로 전년대비 2만 5천개(3.4%) 증가 * 활동기업: 영리기업 중 매출액 또는 상용근로자가 있는 기업 ** 소멸기업: ’20년 활동기업 중 ‘20년 중 소멸한 기업으로, ’21년 자료와 비교하여 없는 기업 【 신생률, 소멸률】 □ 신생률은 14.5%로 전년대비 1.0%p 하락 □ 소멸률은 11.2%로 전년대비 0.1%p 하락 【 신생기업 생존율】 □ '19년 신생기업 중 '20년까지 생존한 기업 비율(1년 생존율)은 64.8%로 전년과 동일 - 상위: 전기·가스·증기(90.6%), ..

[통계청] '22.12.13 한국의 사회동향 2022

Ⅰ. 건강, 인구, 가구·가족 최근 코로나19 유행이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는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음. 보건의료인력 등 현장 대응 자원 확충으로 미래 감염병 위기를 대비해야 한다고 인식함 코로나19가 4차 유행시기부터 전국적으로 대유행했으나, 사망률의 지역격차가 발생함. 유행 규모 폭증시 행정명령으로 민간병원의 중증환자 병상을 확보하여 대응함 저출산·고령화, 연령에 따른 차등적인 인구유출로 지역의 인구구조는 농촌형이 청·중년유출형(64.2%)으로 크게 변화되어, 지속적인 지역 인구감소가 우려됨 노인 단독가구(노인독거가구+노인부부가구)가 노인 전체가구의 70% 이상으로 높은데, 그 중 노인 부부가구는 2000년 대비 2020년 소폭 증가(33.1%→34.9%)했고 노인 독거가구와 자녀 동거가구보다 삶의 질이..

[통계청] '22.12.07 22년 통계로 보는 1인가구

2022 통계로 본 1인가구 ○ 인구가구 '21년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33.4%인 716만 6천 가구이고, 연령대별 비중은 29세 이하 19.8%, 70세 이상 18.1%, 30대 17.1%, 60대 16.4% 순임 *전체 가구 중 1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에는 20.0%였으나, 2030년 35.6%, 2050년 39.6%에 이를 것으로 전망됨 ’21년 지역별 전체 가구 대비 1인가구 비중은 대전이 37.6%로 가장 높았고, 서울(36.8%), 강원(36.3%), 충북(36.3%) 순임 ○ 주거 '21년 1인가구의 주거유형은 단독주택 42.2%, 아파트 33.1%, 연립?다세대 11.5% 순이고, 전체 가구보다 단독주택, 주택이외거처 주거 비중이 높았음 '20년 1인가구의 주거 점유형태는 ..

[통계청] '22.12.06 21년 생명표 작성 결과

□ 2021년 생명표 결과 ○ 2021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남녀전체 83.6년, 남자 80.6년, 여자 86.6년 전년 대비 남녀전체 0.1년, 남자 0.1년, 여자 0.1년 증가 ○ 2021년 60세 남자는 향후 23.5년, 여자는 28.4년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 ○ OECD 회원국 간 기대수명 비교 시 우리나라 남자는 2.9년, 여자는 3.5년 높음. ○ 현재의 사망원인별 사망수준이 유지된다면 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남자 25.4%, 여자 15.6% 암이 제거된다면 남자 4.3년, 여자 2.6년 기대수명이 증가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422107 보도자료 전체 | 통계청 통계청이 생산한 통계자..

[통계청] '22.11.24 2/4분기(5월 기준) 임금근로 일자리동향

[전 체] ■ ‘22년 2/4분기(5월기준)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2020.5만개로 전년동기대비 62.8만개 증가 '21.3/4(49.1만개) → '21.4/4(37.6만개) → '22.1/4(75.2만개) → '22.2/4(62.8만개) ㅇ 전년동기와 동일한 근로자가 점유한 지속일자리는 1,396.7만개(69.1%), 퇴직·이직으로 근로자가 대체된 일자리는 342.0만개(16.9%) ㅇ 기업체 생성 또는 사업 확장으로 생긴 신규일자리는 281.8만개(13.9%), 기업체소멸 또는 사업축소로 사라진 소멸일자리는 219.0만개 [산업별] ■ 산업대분류별로는 전년동기대비 보건·사회복지(10.6만개), 건설업(10.2만개), 제조업(7.3만개) 등에서 증가 ㅇ 보건·사회복지는 사회복지 서비스업(6.8만개)과..

[통계청] '22.11.23 9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2022년 9월 인구동향(요약) 출생아 수는 21,885명으로 전년동월대비 0.1% 감소 사망자 수는 29,199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3.8% 증가 혼인 건수는 14,748건으로 전년동월대비 7.4% 증가 이혼 건수는 8,164건으로 전년동월대비 2.4% 감소 자연증가(출생아 수 - 사망자 수)는 -7,313명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421935 보도자료 전체 | 통계청 2022년 9월 인구동향(출생, 사망, 혼인, 이혼) 담당자 송현정 담당부서 인구동향과 전화번호 042-481-2258 게시일 2022-11-23 조회 261 2022년 9월 인구동향(요약) - 출생아 수는 21,885명으로 전년동..

[통계청] '22.11.23 10월 국내인구이동 결과

2022년 10월 국내인구이동 결과 □ 2022년 10월 중 이동자 수 45만 6천 명, 전년동월대비 15.5%(8만 3천 명) 감소함. □ 인구이동률(인구 백 명당 이동자 수)은 10.5%, 전년동월대비 1.9%p 감소함. □ 시도별 순이동(전입-전출)은 경기(4,619명), 인천(2,506명), 충남(1,756명) 등 8개 시도는 순유입, 서울(-6,436명), 경남(-1,130명), 부산(-818명) 등 9개 시도는 순유출 됨. https://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421922 보도자료 전체 | 통계청 통계청이 생산한 통계자료와 주요활동을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하여 언론에 제공하는 자료입니다. kosta..

[통계청] '22.11.21 2022년 3분기 지역경제동향

□ 광공업생산은 부산(16.4%), 대구(8.6%) 등 11개 시도에서 전년동분기 대비 증가, 충남(-4.7%), 서울(-3.6%) 등 6개 시도는 감소[전국: 1.3%] ◦ 서비스업생산은 제주(8.3%), 인천(8.0%) 등 모든 시도에서 전년동분기 대비 증가[전국: 5.9%] □ 소비(소매판매)는 경남(2.7%), 인천(2.5%) 등 7개 시도에서 전년동분기 대비 증가, 광주(-3.2%), 충북(-2.0%) 등 9개 시도는 감소[전국: -0.1%] □ 수출(통관기준)은 대구(46.6%), 울산(26.4%) 등 9개 시도에서 전년동분기 대비 증가, 제주(-31.5%), 강원(-11.7%) 등 8개 시도는 감소[전국: 6.0%] □ 고용(고용률)은 제주(3.4%p), 경기(2.7%p) 등 16개 시도에서..

[통계청] 2022.11.15 2021년 주택소유통계 결과

1. 개인 소유 주택 현황 ○ 전체 주택 18,812천호 중 개인이 소유한 주택은 16,242천호로 86.3% 차지하였으며, 전년보다 274천호(1.7%) 증가 주택소재지와 동일한 지역 내의 거주자가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시·도 기준으로 86.5%, 시·군·구 기준으로는 76.2%를 차지 2. 주택 소유자 현황 ○ 주택을 소유한 개인은 15,089천명으로 전년보다 393천명(2.7%) 증가 성별 소유 현황은 남성 8,206천명(54.4%), 여성 6,883천명(45.6%) 주택을 1건만 소유한 사람은 12,816천명(84.9%), 2건 이상 소유한 사람은 2,273천명(15.1%) 3. 주택 소유 가구 현황 ○ 일반가구 21,448천 가구 중 주택을 소유한 가구는 12,063천 가구(56.2%)로 전년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