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국고채금리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 등으로 큰 폭 상승하였다가 10월 하순 이후 주요국 긴축 속도 조절 기대, 시장안정 대책 발표 등으로 반락
▣ 코스피는 2,200 내외에서 등락하다가 10월 하순 들어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 2차전지 업종의 양호한 실적 발표 등으로 상승
▣ 10월중 은행 가계대출(22.9월 -1.3조원 → 10월 -0.6조원)은 감소폭이 축소 되었으며, 기업대출(+9.4조원 → +13.7조원)은 높은 수준의 증가세 지속
▣ 10월중 은행 수신(22.9월 +36.4조원 → 10월 +6.8조원)은 증가하였으며 자산운용사 수신(-12.4조원 → +4.4조원)은 증가 전환
http://www.bok.or.kr/portal/bbs/P0000559/view.do?nttId=10073702&menuNo=200690
2022년 10월중 금융시장 동향 | 보도자료(상세) | 커뮤니케이션 | 한국은행 홈페이지
한국은행과 관련된 보도자료 제공 게시판
www.bok.or.kr
반응형
'거시경제, 매크로 > 한국은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행] 2022.11.15 2022년 9월 통화 및 유동성 (0) | 2022.11.15 |
---|---|
[한국은행] 2022.11.15 2022년 10월 수출입물가지수 (0) | 2022.11.15 |
[한국은행] 2022.11.08 2022년 9월 국제수지(잠정) (0) | 2022.11.08 |
[한국은행] 2022.11.03 2022년 10월말 외환보유액 (0) | 2022.11.04 |
[한국은행] 2022.11.01 금융통화위원회 의사록(2022년도 제19차)(2022.10.12)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