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KB경영연구소 5

[KB연구소] '22.12.04 22년 한국 부자보고서

2021년 한국 부자 수는 42만 4천명, 보유한 총금융자산은 2,883조원이다 ▶2021년 한국 부자 수는 42만 4천명으로 한국 총인구의 0.82%에 해당. 2021년 전년 대비 8.0% 증가했 으나, 2020년 전년 대비 10.9% 상승에 비해 증가폭이 감소 ▶ 2021년 한국 부자가 보유한 총금융자산은 2,883조원으로 가계 총금융자산 4,924조원의 58.5%에 해당. 부자의 총금융자산도 부자 수와 같이 2020년에 비해 2021년 증가폭이 감소 8,600명인 ‘초고자산가’가 보유한 금융자산은 1,348조원으로 가계 전체의 27.4%이다 ▶ 2021년 한국 부자 중 90.7%인 38만 5천명이 ‘자산가’에 해당하고, 7.3%(3만 1천명)가 ‘고자산가’에 속 함. ‘초고자산가’는 8,600명으로..

[KB연구소] '22.11.25 가상자산거래소를 바라보는 금융의 시선

■ 가상자산거래소는 증권거래소와 비슷해 보이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차이점이 존재 ➔ 주식시장은 금융투자회사(채널) - 한국거래소(거래 체결) - 한국예탁결제원(실물 보관)으로 권한이 분산되는 구조인데 반해, 가상자산시장은 가상자산거래소가 중개를 비롯해 상장, 예탁, 매매, 결제 등 거의 모든 기능을 단독으로 수행 ■ 한때 국내 가상자산거래소에는 공급이 급격히 증가한 시장 수요를 받쳐주지 못하면서 해외 거래소 대비 5%~20% 코인 가격이 높은 ‘김치프리미엄’이 발생 ➔ 국내는 코인 채산성이 낮아 채굴을 통한 공급이 부족했고, 해외는 중국 등의 투기 세력 자금 유입으로 수요가 급증하면서 김치프리미엄이 가속화 ➔ 시장 간 가격 차이가 발생하면 보통 재정거래를 통해 가격 안정화가 이뤄지지만, 가격이 낮은 해..

[KB경영연구소] 2022.11.14 KB부동산시장 리뷰 2022-11호

[ 주거용 부동산 시장 ] ◦ 주택가격: 수도권하락폭확대,주택매매전망지수크게하락 ∙ 10월 전국 주택매매가격(-0.55%)은 3개월 연속 하락폭 확대되었으며, 주택매매전망지수(65.1)는 2013년 조사시작 이후 최저치를 2개월 연속 경신 ∙ 전세가격은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하락세 지속, 전국 전세가격 연초 수준으로 회귀 ◦ 주택거래: 주택거래량2013년2월이후최저치,3개월연속4만호하회 ∙ 9월 주택매매거래량은 약 3.2만호, 직전 1년 평균 대비 41% 감소 ∙ 미분양아파트는 전월대비 8,882호 증가한 4.2만호, PF 리스크에 대한 우려 확대 ◦ 주택공급: 청약경쟁률3개월연속3:1, 미분양아파트증가지속전망 ∙ 10월 분양물량은 최근 1년 월평균 분양물량 대비 21.2% 증가한 약 3.9만호, ..

[KB경영연구소] 2022.11.14 주택시장 연착륙을 위한 정책 제언

주택 경기 급락 시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고려한 대응이 필요한 시점 주택시장은 단기적으로 급락할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주택경기 급락 시 미치는 파급 효과를 감안해 주택시장 정상화 수준에서의 선제적 규제완화가 필요한 상황 주택경기 급락 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가계부채와 건설업 부도에 따른 이슈 뿐 아니라 인테리어업, 가전업 등 부동산 관련업 전반으로 파장이 확대 따라서 주택경기 연착륙을 위해서 규제 정상화 수준의 규제 완화 조치는 빠르게 시행할 필요가 있음 금융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DSR 규제 완화로 대출한도 확대 대출만기 확대를 통한 대출한도 증액 원금 일부의 만기를 연장하여 상환부담 축소 임대보증금 보증 합리화 금융권 임대주택시장 진입을 통해 주택경기 침체 시 완충 작용 세제 생애최초 주..

[KB경영연구소] 2022.11.28 비아파트 가치제고 방안 검토

국내 가구의 약 43%는 비아파트에 거주하나 주택규모 및 거주환경은 아파트에 비해 낮은 여건. 비아파트 시장의 개선 및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주택수요층을 흡수할 필요 아파트는 1990년대 말 신도시 및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설로 대표적인 주거형태로 자리잡았으나, 공동생활에 따른 불편함, 층간 소음, 폐쇄성 등의 이슈는 꾸준히 제기 한편 비아파트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주거환경과 좁은 면적으로 주요 주택수요 계층인 3~4인 가구를 수용하기 어려운 여건이나, 최근 주택시장 내 새로운 수요층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아파트의 개선 및 활성화를 통해 다양한 주택수요층을 포용할 필요 주택시장 내 다양한 수요층의 부각, 이들의 거주 형태 및 인식 변화에 관심을 둘 필요 그동안 주택시장의 주요 세력이었던 베이비붐세대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