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 매크로/한국은행

[한국은행] '22.12.02 3/4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

10Y1M 2022. 12. 2. 15:54
반응형

 

□ 2022년 3/4분기말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대출금 잔액은 1,769.7조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56.6조원 증가하였으며, 전분기(+68.4조원)에비해증가폭이 축소 ㅇ 전년동기말 대비 증가율은 15.6%로 전분기(15.9%)보다 하락

 

Ⅰ. 개 황

□ 2022년 3/4분기말 예금취급기관의 산업별대출금 잔액은 1,769.7조원으로 전분기말대비 56.6조원 증가하였으며, 전분기(+68.4조원)에 비해 증가폭이 축소

ㅇ (산업별) 제조업(+10.9조원 → +10.6조원), 서비스업(+48.1조원 → +38.8조원) 등은증가폭이 축소

ㅇ (용도별) 운전자금(+44.0조원 → +36.6조원) 및 시설자금(+24.4조원 → +20.0조원) 모두증가폭이 축소

ㅇ (업권별) 예금은행(+36.2조원 → +32.4조원) 및 비은행예금취급기관(+32.2조원 → +24.2조원) 모두 증가폭이 축소 ― (기업형태별) 예금은행 대출금에서 법인기업(+30.7조원 → +26.5조원) 증가폭은축소된 반면 비법인기업(+5.5조원 → +5.9조원)은 소폭 확대

 

Ⅱ. 산업별 동향

1. 제조업

□ 2022년 3/4분기중 제조업 대출금은 증가폭이 소폭 축소(+10.9조원 → +10.6조원)

ㅇ (업종별) 화학·의료용제품(+2.3조원 → +2.3조원)은 전분기와 비슷한 증가폭을보인가운데, 전기장비(+0.6조원 → +1.5조원) 등은 증가폭이 확대

― 식료품·음료(+1.1조원 → +0.5조원) 등은 증가폭이 축소

ㅇ (용도별) 운전자금(+6.9조원 → +8.6조원) 증가폭은 확대된 반면 시설자금(+4.0조원→+2.0조원)은 축소

ㅇ (업권별) 예금은행(+8.5조원 → +7.8조원) 증가폭은 축소되었으나 비은행예금취급기관(+2.4조원 → +2.8조원)은 소폭 확대

 

2. 서비스업

□ 2022년 3/4분기중 서비스업 대출금은 증가폭이 큰 폭 축소(+48.1조원 → +38.8조원)

ㅇ (업종별) 도·소매업(+11.7조원 → +8.9조원), 부동산업(+13.4조원 → +9.7조원) 등을중심으로 증가폭이 축소

― 숙박 및 음식점업(+2.3조원 → +3.0조원), 금융 및 보험업(+7.4조원 → +7.5조원) 등은확대

ㅇ (용도별) 운전자금(+29.1조원 → +23.2조원) 및 시설자금(+18.9조원 → +15.6조원) 모두증가폭이 축소

ㅇ (업권별) 예금은행(+23.0조원→+20.6조원) 및 비은행예금취급기관(+25.1조원→+18.2조원) 모두 증가폭이 축소

 

http://www.bok.or.kr/portal/bbs/P0000559/view.do?nttId=10074154&menuNo=200690 

 

2022년 3/4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 | 보도자료(상세) | 커뮤니케이션 | 한국은행 홈페이

2022년 3/4분기중 예금취급기관 산업별 대출금

www.bok.or.kr

(보도자료) 2022.3분기 예금취급기관 산업별대출금.pdf
0.49MB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