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31

[주식시황] '22.12.16

15 일(목) 미국 증시는 소매판매, 산업생산 등 미국 경제지표 쇼크, 예상보다 매파적이었던 ECB 회의 결과에 따른 유럽증시 급락 충격 등으로 하락 마감(다우 -2.3%, S&P500 -2.5%, 나스닥 -3.2%) BOE 통화정책회의에서 50bp 인상 단행 기준금리를 3.0%에서 연 3.5%로 결정, ECB 역시 50bp 인상 단행하며 기준금리 2.00%에서 2.5%로 결정. 라가르드 총재는 유로화 약세로 물가상승 둔화폭이 지연되는 점을 고려하여 매파적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언급. 유로존 11 월 소비자물가가 전년 동기 대비 10%(예상 10.1%, 전월 10.6%) 증가 기록하며 예상치를 하회. 물가상승폭이 둔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내년 3 월부터 자산매입프로그램 만기채권 원금에 대한 재투자를 줄이..

주식시황 2022.12.16

[부동산원] '22.12.15 주간아파트가격 동향

2022년 12월 2주(12.12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64% 하락, 전세가격은 0.83% 하락했다. 매매 □ [전국 : -0.64%]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59%) 대비 하락폭 확대됐다. 수도권(-0.74%→-0.79%), 서울(-0.59%→-0.65%) 및 지방(-0.45%→-0.50%) 모두 하락폭 확대(5대광역시(-0.57%→-0.60%), 8개도(-0.33%→-0.38%), 세종(-1.02%→-1.22%))됐다. ㅇ 시도별로는 세종(-1.22%), 인천(-1.04%), 대구(-0.87%), 경기(-0.81%), 서울(-0.65%), 대전(-0.62%), 울산(-0.52%), 경남(-0.51%), 부산(-0.49%) 등 하락했다. 공..

[서울시] '22.12.15 제17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개최결과

공항지구중심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변경)(안) 위 치 : 강서구 방화동 612번지 일대(123,119.3㎡) 내 용 : 지구단위계획구역, 획지 및 건축물 등에 관한 사항 변경 2. 상수역세권 주변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계획 결정(변경)(안) 위 치 : 마포구 상수동 95-3번지 일대(3,696㎡) 내 용 : 지구단위계획구역 변경,최대개발규모, 용적률 계획 등 3. 반포아파트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 및 계획 결정(안) 위 치 : 서초구 반포동, 잠원동 일대(2,821,097.5㎡) 내 용 : 기존 반포아파트지구에 대한 지구단위계획 수립(용적률, 높이 계획, 특별계획구역 등) https://www.seoul.go.kr/news/news_report.do#view/376865 서울특별시 서울소식 분야..

[국토부] '22.12.15 새 정부 첫 도시재생사업 26곳 신규 선정, ‘27년까지 1.5조원 투자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제31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위원장 한덕수 국무총리) 서면심의(12.7~14)를 거쳐 새 정부 첫 도시재생사업으로 경남 합천 등 총 26곳을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도시재생특별위원회 : 국무총리(위원장), 경제·산업·문화·도시·건축·복지 등 각 분야 민간위원(13명), 정부위원(기재부·국토부 등 16개 관계부처 장관·청장) 이번 신규사업은 ①쇠퇴지역 경제거점 조성을 통한 도시공간 혁신 도모, ②지역별 맞춤형 재생사업을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 ③지역과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한 지역 균형발전 선도 등 지난 7월 발표한 「새 정부 도시재생 추진방안」에 중점을 두고, 중앙·광역 공모에 접수된 총 76곳 중 실현 가능성과 사업 타당성이 높은 사업을 선별하여 선정하였다. (혁신지구) 산..

[관세청] '22.12.15 11월 월간 수출입 현황 [확정치]

수출, 14.0% 감소한 519억 달러… 2개월 연속 감소 21개월 연속 500억 달러 돌파, 누적 수출액 최대 - ○ 총 괄 전년 동월 대비 수출은 △14.0% 감소한 519억 달러, 수입은 2.7% 증가한 589억 달러로, 무역수지 70억 달러 적자 기록 11월 수출은 21개월 연속 500억 달러 돌파, 누적 수출액 역대 최고 ○ 수 출 (품목별) 주요 수출품목 중에 승용차(전년동월대비 증감률 32.0%)ㆍ석유제품(22.1%)ㆍ자동차 부품(1.0%) 등 증가, 반도체(△28.6%)ㆍ무선통신기기(△20.1%)ㆍ선박(△69.5%)ㆍ가전제품(△33.3%) 등 감소 (국가별) 주요 수출대상국 중에 미국(전년동월대비 증감률 8.0%)ㆍ유럽연합(0.1%)ㆍ호주(86.8%) 등 증가, 중국(△25.5%)ㆍ베트남(..

[부동산뉴스] '22.12.15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121465061 AI·모빌리티·메타버스…대기업의 이유 있는 스타트업 '식탐' AI·모빌리티·메타버스…대기업의 이유 있는 스타트업 '식탐', 기술 스타트업 모시는 대기업들 새 먹거리 찾는 통신3사, 전략적 투자 SKT, 코난테크 등 AI기업 2대 주주로 KT는 클라우드·커넥티드 www.hankyung.com http://www.it-b.co.kr/news/articleView.html?idxno=64875 프롭테크 스타트업 더방픽, 공인중개사 고객영업관리 ‘CRM 솔루션’ 런칭 - 아이티비즈 중앙대 캠퍼스타운 창업기업인 프롭테크 스타트업 더방픽(대표 김현호)은 전통산업에 머무르고 있는 공인중개사 산업의 고객, 영업관리 프로세스의 디지..

[주식시황] '22.12.15

14 일(수) 미국 증시는 예상보다 높았던 레벨의 점도표 상향, 내년 금리 인하는 없을 것이라는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에 장 중 1% 넘는 급락세를 연출했으나, 장 후반 들어 낙폭을 회복한 채로 마감(다우 -0.42%, S&P500 -0.61%, 나스닥 -0.76%) 12월 FOMC에서 50bp 인상을 단행하며 기준금리 범위는 3.75~4.00%에서 4.25~4.50%로 결정, 4번의 75bp 자이언트 스텝 이후올해 처음으로 금리인상 기조 완화. 점도표에 따르면 내년 최종금리 범위 5.00~5.25%, 중간금리 5.1%로 예상하며, 9 월 FOMC 4.6% 대비 상향 조정. 2023 년 하반기 또는 2024 년에 이르러 금리 인하로 선회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 경제성장률은 하향조정, 실업률은 상향조정..

주식시황 2022.12.15

[미국] '22.12.15 FOMC 성명 발표

연준은 어려운 시기에 미국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모든 범위의 도구를 사용하여 최대 고용 및 물가 안정 목표를 촉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의 진전과 강력한 정책 지원으로 경제 활동 및 고용 지표가 계속 강화되었습니다. 팬데믹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부문은 최근 몇 달 동안 개선되었지만 COVID-19의 영향을 계속 받고 있습니다. 최근 몇 달 동안 일자리 증가는 견고했으며 실업률은 크게 감소했습니다. 전염병과 경제 재개와 관련된 수급 불균형은 계속해서 인플레이션 수준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전반적인 금융 여건은 여전히 ​​완화적이며, 부분적으로는 경제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조치와 미국 가계 및 기업에 대한 신용 흐름을 반영합니다. 경제의 길은 계속해서 바이러스의 진로에 달려 있습..

[한국은행] '22.12.13 10월 통화 및 유동성

□ 2022년 10월 M1(협의통화, 평잔)은 전월대비 1.9% 감소 [전년동월대비 -3.5%] □ M2(광의통화, 평잔)는 전월대비 0.4% 증가 [전년동월대비 +5.9%] ㅇ (금융상품별) 정기예적금(전월대비 +45.9조원) 등이 증가한 반면, 수시입출식저축성 예금(-16.1조원), MMF(-13.1조원), 요구불예금(-8.7조원) 등이 감소 ㅇ (경제주체별) 기업(+9.2조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7.5조원) 등이 증가하였으나,기타금융기관(-13.8조원)은 감소 □ Lf(금융기관유동성, 평잔)는 전월대비 0.3% 증가 [전년동월대비 +5.6%] □ L(광의유동성, 말잔)은 전월말대비 0.3% 증가 [전년동월말대비 +5.9%] □ M2(평잔)는 2021년 12월(+13.2%) 이후 증가세 둔화 지..

[통계청] '22.12.13 한국의 사회동향 2022

Ⅰ. 건강, 인구, 가구·가족 최근 코로나19 유행이 영원히 지속될 것이라는 두려움이 높게 나타났음. 보건의료인력 등 현장 대응 자원 확충으로 미래 감염병 위기를 대비해야 한다고 인식함 코로나19가 4차 유행시기부터 전국적으로 대유행했으나, 사망률의 지역격차가 발생함. 유행 규모 폭증시 행정명령으로 민간병원의 중증환자 병상을 확보하여 대응함 저출산·고령화, 연령에 따른 차등적인 인구유출로 지역의 인구구조는 농촌형이 청·중년유출형(64.2%)으로 크게 변화되어, 지속적인 지역 인구감소가 우려됨 노인 단독가구(노인독거가구+노인부부가구)가 노인 전체가구의 70% 이상으로 높은데, 그 중 노인 부부가구는 2000년 대비 2020년 소폭 증가(33.1%→34.9%)했고 노인 독거가구와 자녀 동거가구보다 삶의 질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