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황

[주식시황] 2022.10.27

10Y1M 2022. 10. 27. 11:25
반응형
  • 25 일(화) 미국 증시는 전일 장마감 후 발표한 알파벳( -9.64%), 마이크로소프트(-7.72%) 실적 부진으로 나스닥 2% 하락 출발 하였음. 장중 캐나다 BOC의 예상보다 낮은 금리인상(75bp -> 50bp), 빅테크 이외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과 연준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기대감. 영국 리시 수낵 총리 취임으로 인한 정책 불확실성 해소, 엔화 안정화 및 국채수익률, 강달러 완화 등에 힘입어 상승하였으나,  장마감 후 발표될 메타 실적에 대한 불안감, S&P500 지수 50일선 돌파 저항 등으로 인해 나스닥과 S&P500은 하락 마감.
  • 미국 9월 신규 주택 판매건수는 603k로 이전 677K보다는 하락했지만 예상 585K는 상회. 원유재고도 이전 -1.725M, 예상 1.029M를 상회한 2.588M으로 발표. 쿠싱 원유 재고도 이전 0.583M을 상회한 0.667M로 발표.
  • 장마감 후 메타는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며 -19.66% 하락했으나, 나스닥 지수는 선반영으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고 오히려 +0.40% 상승하고 선물도 0.50% 상승.
  • 10년물 국채 금리와 3개월 물 국채금리가 장중 역전현상이 일어나며 경기침제 리스크는 더욱 부각.
  • 금일 ECB 금리결정, 3분기 GDP,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내구재수주 등의 지표 발표와 무엇보다 이번 실적 시즌에서 가장 중요한 애플과 아마존 실적발표가 예정되어 있음. 애플 실적에 따라 이번 빅테크 실적 향방이 정해질 예정
  • 다우 +0.01%, S&P500 -0.74%, 나스닥 -2.04%
  • TQQQ -6.61%, (after +1.14%/future NQ1!  +0.49%)
 
  • 지표 : ECB 금리결정 (10월), 근원 내구재수주 (MoM) (9월), 내구재 수주 (MoM) (9월), GDP (QoQ) (3분기), GDP 물가지수 (QoQ) (3분기),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천연가스 재고량, KC Fed 종합지수 (10월)
  • 실적 : 애플 (AAPL), 아마존닷컴 (AMZN), 마스터카드 (MA), 머크앤드컴퍼니 (MRK), 맥도날드 (MCD), 컴캐스트 (CMCSA),  하니웰 (HON), 인텔 (INTC), 캐터필러 (CAT), S&P Global (SPGI), 아메리칸 타워 (AMT), 알트리아 그룹 (MO), 아메리칸 일렉트릭 파워 (AEP), 워너 브라더스 디스커버리 (WBD),캐리어 (CARR), PG E (PCG),  바이두 (BIDU), 퍼스트에너지 (FE), 사우스웨스트 항공 (LUV), 웨스턴 디지털 (WDC)

 

지난 3월 생성한 채널 고점을 돌파하고 8월 생성된 채널 돌파 트라이 중이나, 50일선과 피보나치 되돌림 0.618 라인을 돌파하지 못하고 주저앉음. 금일 애플 호실적으로 해당 저항 돌파 시, 3969~4013 정도까지는 상승여력 있음.

반응형

'주식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황] 2022.11.08  (0) 2022.11.08
[주식시황] 2022.11.04  (0) 2022.11.04
[주식시황] 2022.10.28  (0) 2022.10.28
[주식시황] 2022.10.25  (0) 2022.10.25
[주식시황] 2022.10.24  (0) 2022.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