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7일 미 증시는 3분기 성장률이 2.6%(QoQ)(예상 2.4%, 이전 -0.6%)로 상승하였으나, 광고수익 부진으로 인한 메타(-24.6%) 급락 영향 등 빅테크 실적 부진에 대한 우려로 나스닥 -1.63%, S&P500 -0.61%, 다우는 +0.61%로 혼조 마감. 장 마감 후 아마존은 매출 및 EPS는 예상을 상회 했으나 4분기 가이던스 하향 영향으로 시간외에서 -12.73% 하락. 애플도 매출과 순이익은 예상을 상회했으나, 아이폰 판매 부진영향으로 시간외에서 +0.41% 소폭 상승 마감.
-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는 217k로 예상 220k보다 하회하며 고용은 여전히 견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9월 내구재 수주는 예상 0.6%, 발표 0.4%로 하회하여 경기 침체 우려를 증가시킴
- 유럽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기준금리 75bp인상 하였으나,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금리 인상에 대한 속도조절을 나타냄. 이에 따라 미국채 금리10년물은 3.923%로 -2.1% 하락
- 캐나다에 이어 유럽 중앙은행에서도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대한 의견을 내비치고 있으며 민주당 상원에서도 인플레이션 완화 뿐만 아니라 고용 안정도 Fed의 주요 책무라는 서한을 보내는 등 차주 FOMC에서도 Fed의 긴축 속도조절에 대한 압력이 심화되는 상황.
- 금일 미 증시는 아마존 하락으로 인해 하락 출발 할 것으로 예상되며, 근원 개인 소비지출 물가지수(YoY)가 이전 4.9%, 예상 5.2%로 인플레이션이 심화될 것으로 보고 있어 변동성이 심할 것으로 예상됨.
-
다우 +0.61%, S&P500 -0.61%, 나스닥 -1.63%
-
TQQQ -5.51%, (after -2.96%/future NQ1! -0.53%)
-
TMF +3.54%, (after 0.00%/future US20Y +0.12%)
-
지표 :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9월), 개인소비지출 물가 지수 (9월), 고용비용지수 (QoQ) (3분기), 개인지출 (MoM) (9월), 미시간대 소비자기대지수 (10월), 미시간 5년 인플레이션 예상 (10월), 미시간대 소비자평가지수 (10월), 미시간대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10월), 잠정주택매매 (MoM) (9월)
-
실적 : 엑슨모빌 (XOM), 셰브론 (CVX), 애브비 (ABBV), 차터커뮤니케이션 (CHTR), 로얄 캐리비안 (RCL)
QQQ.
빅테크 실적 악화로 최근 상승 채널 바닥을 깨고 20일선 근처에서 종가 형성. 금일 아마존, PCE 여파로 더 하락할 경우 피보나치 되돌림 1 라인인 268이나 전저점 부근까지 하락할 가능성 있음.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
10년물 금리 상승 추세 채널 하단 뚫고 하락. 캐나다, 유럽에 이어 FED도 FOMC에서 비둘기적으로 전환할 경우 TMF 상승 가능성 있음.
반응형
'주식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시황] 2022.11.08 (0) | 2022.11.08 |
---|---|
[주식시황] 2022.11.04 (0) | 2022.11.04 |
[주식시황] 2022.10.27 (0) | 2022.10.27 |
[주식시황] 2022.10.25 (0) | 2022.10.25 |
[주식시황] 2022.10.24 (0) | 2022.10.24 |